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2541

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- 기업공개, 기축통화란? 기업공개 기업공개는 말 그대로 기업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는 것이다. 넓은 의미로는 기업의 전반적 경영내용을 공개하는 것을 의미한다. 좁은 의미로는 기업의 주식을 다수의 투자자들에게 분산 매각하는 것을 말한다. 즉, 주식회사가 증권거래소에 상장하여 주식을 거래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말한다. 기업공개를 하면 주주의 분산투자 촉진 및 소유권의 분산, 자금 조달 능력의 향상, 주식가치의 공정한 결정, 세제 혜택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. 기업과 관련된 정보는 한국거래소 전자공시 홈페에지(KIND), 금융감독원 전자공시(DART)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. 혹은 스마트폰 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받아서 확인할 수 있다. 기업공개 절차 기업공개 절차는 간략하게 금융위원회 등록 및 최근 사업연도 재무제표에 대한 .. 2022. 11. 13.
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- 금본위제, 금산분리란? 금본위제 금본위제는 각국의 화폐 가치를 금으로 환산하는 제도이다. 예를 들어, 한국의 1원은 금 0.0004g 에 해당한다면, 다른 나라의 화폐가 금 몇 g 에 해당하는지를 이용하여 환전을 할 수 있다. 즉, 금본위제는 고정환율제도라고 할 수 있겠다. 하지만 지금은 고정환율제도를 사용하지 않고, 변동환율체제를 사용한다. 즉, 환율이 매일매일 변하는 것이다. 네이버에서 원달러 환율을 검색하면 오늘의 환율을 볼 수 있다. 금은 희소성이 있고, 누구나 인정하는 가치가 있었기 때문에 화폐로 오랜 기간 사용되었다. 예로부터 금을 중심으로 거래도 되었지만, 금은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금 교환소가 있었다. 즉, 교환소에 금을 맡기고 교환소에서 발행한 교환권을 받게 된다. 그 교환권을 가져가면 교환소에서 다시 금.. 2022. 11. 11.
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- 국가 신용 등급, 국채란? 국가 신용등급 신용등급은 개인도 있지만, 국가도 신용등급을 가진다. 신용등급은 말 그대로 믿을 수 있는 정도라고 말할 수 있다. 즉, 국가 신용등급은 국가 별로 등급을 매겨 믿을 수 있는 국가인지를 판단하는것이다. 그러면 누가 이러한 등급을 매길까? 이러한 등급은 국제신용평가기관에서 등급을 매기는데, 대표적으로 미국의 S&P, Moody's(무디스), 영국의 Fitch 와 같은 기관이 있다. 국가 신용등급을 결정짓는 요소들은 국가의 정치체제의 안정성, 국가 안보상의 위험과 같은 정치적인 요소. 그리고 경제 성장률, 외채규모, 대외 채무불이행 경험 등 경제적인 요소가 종합되어 평가가 된다. 이러한 국가 신용등급은 투자하기 적절한 국가인지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준다. 예를들어 이탈리아의 테크노짐이라는 회사가 .. 2022. 11. 9.
경제 금융 용어 알아보기 - 공급탄력성, 공매도란? 공급 탄력성 가격이 결정되는 것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이다. 흔히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는 지점이 시장의 가격이라는 정의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. 아래 차트는 수요 공급 곡선을 그린 것이다. (출처 : 나무위키) 위 그림에서 P 는 가격을 의미하고, Q 는 수량, D 곡선을 수요, S 곡선을 공급으로 정의한다. 위 차트의 상황은 수요가 증가하여 수요 곡선이 D1 -> D2 로 변경된 경우이다. 그러면 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지점이 P1 -> P2 가 됨으로,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. 위 그림이 우리가 학생시절 배웠던 수요 / 공급 곡선이다.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수요와 공급과 가격이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. 그렇다면 공급탄력성이란 무엇일까? 공급탄력성이란 가격변화에 대한 공급의 민감도를 측정한 .. 2022. 11. 7.